전체 글 41
돈벌레 나오는 이유와 잡는법
여름철 바퀴벌레 보다 더 싫은 존재가 있습니다. 바로 돈벌레 입니다. 생김새부터 너무 혐오스러워서 집안에 나타나면 하루종일 멘탈이 나가 있게 됩니다. 돈벌레가 나타나지 않게 예방방법과 나타났을때 잡는법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집집마다 바퀴벌레만큼 종종 볼 수 있는 벌레가 있습니다. 바로 돈벌레라고 불리는 그리마라는 절지동물입니다. 생김새는 지네와 비슷하지만 다리가 많고 크기가 작아서 귀엽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보자마자 혐오감을 일으킬 수 있는 자태를 뽐내기 때문에 발견 시 공포에 휩싸이게 됩니다. 부자 된다는 미신 옛날부터 집에 돈벌레가 나타나면 죽이지 말라는 말이 떠돌았습니다. 옜말에 의하면 집안에 돈벌레가 보이면 재물복이 들어온다고 하여 반기기도 하였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보이면 돈..

설치없이 윈도우10 게임화면 녹화하는방법
윈도우10에서 내가 하는 게임 화면이나 컴퓨터 화면을 녹화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복잡한 설치 과정 필요 없이 윈도우10 자체 기능으로 현재 내화면을 동영상으로 녹화할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공유해 보자 합니다. 윈도우 10에서 제공하는 화면 녹화 프로그램인 xbox game bar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윈도우키란 키보드 아래부분에 있는 윈도우 로고모양의 그림이 적힌 키를 말합니다. 실행 방법 및 단축키 ✅ 녹화 프로그램 실행키 : 윈도우키 + G ✅ 녹화 시작, 중지 : 윈도우키 + ALT + R ✅ 스크린샷 : 윈도우키 + ALT + PrtScr 윈도우 + G 실행키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화면이 나타납니다. 동영상을 녹화하기 위해서는 왼쪽 상단에 있는 녹화 버튼을 클릭하거나 윈도우 + alt + r 키를..

새하드디스크 인식시키는 방법
컴퓨터에 새하드디스크를 장착하였을 때 초기에 내 컴퓨터에서 인식을 못합니다. 이때에는 컴퓨터에서 드라이브를 인식시켜주는 작업을 해주어야 합니다. 그 과정을 사진 하나하나 첨부하여 간단히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과정은 윈도우 10에서의 과정입니다. 새하드디스크 인식시키는 방법 1. 내컴퓨터 -> 관리 바탕화면에 있는 내 pc 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관리 클릭 2. MBR GPT 중선택 제가 추가하려는 새 하드 용량은 3TB입니다. MBR을 선택하면 컴퓨터에서 2TB밖에 인식을 못하고 1TB를 쓸 수 없게 됩니다. 그래서 GPT방식으로 진행하였습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자신에게 맞는 방식으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MBR GPT 차이점 MBR - 새하드디스크 용량이 2TB 미만일 때 - 윈도우 3..

수족구병 증상, 치료방법
수족구병 증상을 전달해드리겠습니다. 이 글을 모두 읽어주시면 수족구병 증상과, 치료방법 등을 알게 되실 것입니다. 수족구병 원인과 증상 등의 지식이 필요하시면 전체 다 읽어주세요. 이제 수족구병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수족구병이란 어린이들 특히 4세 이하의 소아에게서 여름과 가을철에 자주 발생합니다. 우리의 몸 손, 발등에 발진과 궤양, 물집등이 잡히는 것을 말합니다. 그럼 어떤 것에 의해서 걸리게 될까요? 원인 원인은 바로 바이러스 이며 이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원인 - 콕사키 바이러스 A16, 엔테로 바이러스 71, 콕사키 A 바이러스 5, 6,7,9,10 , 콕사키 B 바이러스 2,5 등 감염경로는 환자의 호흡, 분비물, 수포와 진물 등을 통해서 비말겸염이 있으며 드물게 대변을 통하여 감염되기..

haccp 인증된 음식 구매해야 하는 이유
인터넷에서 음식을 살 때 보면 설명란에 HACCP 인증 시설이라고 자랑스럽게 홍보하는 식품이 많습니다. 자취생으로써 가공식품을 자주 사 먹어야 하기에 보다 안전하고 인체에 무해한 음식을 고르기 위해 HACCP에 알아두면 좋을 듯합니다. HACCP 인증이란? 해썹인증 이라고도 불립니다. 식품이 만들어지기까지 모든 과정에는 제조, 가공, 조리, 유통이 포함됩니다. 이과정에서 제조 식품 안에 안 좋은 물질이 들어가거나 유해성분이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과정의 위생적인 부분들을 평가하여 관리하여 인증을 해주고 있습니다. 기업에서는 이인증을 받아야 판매하는 제품에 HACCP 인증마크를 달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식품, 축산, 건강식품, 급식소 등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