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게임빌드 코인이란? 게임 광고 수익을 나누는 Web3

비트코인 분석가 2025. 4. 19.

GameBuild(GAME2)는 게임 안에 광고를 넣어 발생하는 수익을 블록체인으로 분배하는 Web3 게임 인프라입니다. 개발자, 플레이어, 광고주가 함께 이익을 나누는 구조로 주목받고 있으며, Web2 게임과의 호환성도 뛰어납니다.

 

GAME2 코인이란

GAME2는 GameBuild 생태계에서 사용되는 이더리움 기반의 유틸리티 토큰입니다. 업비트에서의 명칭은 게임빌드(GAME2)로 불리고 있습니다. GAME2의 심볼명은 과거 거래지원 종료된 GAME(게임크레딧)과의 혼동을 막기 위해 GAME2로 표기되었습니다.


GameBuild는 게임 내 광고 수익을 개발자와 유저에게 분배하며, 광고 자체도 NFT처럼 거래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플레이어는 단순히 게임을 즐기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광고에 참여하거나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실질적인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Web3 게임뿐 아니라 Web2 게임도 쉽게 연동할 수 있도록 SDK를 제공하며, 광고 수익 중심의 DAO 구조를 통해 생태계 참여자 모두가 수익을 나누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GAME2는 단순한 P2E(Play to Earn) 코인이라기보다는, 광고 수익을 기반으로 생태계를 운영하는 Web3 인프라형 코인입니다.

 

공식 사이트: https://www.game.build/

 

GameBuild는 탄생 배경

GameBuild는 처음부터 단독으로 시작된 프로젝트가 아닙니다. 이전부터 존재하던 캐리프로토콜(CRE)과 SLG.GAMES(SLG)라는 두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합쳐져 만들어진 통합 생태계입니다.

 

캐리프로토콜(CRE)은 오프라인 소비 데이터를 활용한 리워드 시스템을 만들던 프로젝트로 소비자와 매장 간 데이터 교환을 통해 보상을 주는 구조를 갖고 있었습니다.

 

SLG.GAMES(SLG)는 블록체인 기반 게임 개발사로 자체 토큰인 SLG를 발행해 실제로 Bybit, Gate.io, MEXC, KuCoin, Bitget 등 주요 거래소에 상장된 바 있습니다.


SLG 토큰은 게임 내 보상과 생태계 참여에 활용되었고 대표 게임으로는 Land of Conquest가 있었습니다.

 

이 두 프로젝트는 각자의 기술력과 유저 기반을 통합해 새로운 게임 생태계인 GameBuild를 출범시켰고 기존의 SLG와 CRE 토큰은 GAME2라는 새로운 유틸리티 토큰으로 전환되었습니다.

코인의 특징

광고 수익 공유 구조

GameBuild는 게임 내에 자연스럽게 삽입된 '광고 스팟'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이를 광고 인벤토리 보유자나 생태계 기여자에게 분배합니다.


이 광고는 게임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며, 광고 NFT는 거래가 가능해 개발자와 광고주 모두에게 추가 수익 기회를 제공합니다.

Web2와 Web3 통합 SDK

기존 Web2 게임도 쉽게 GameBuild 생태계로 편입될 수 있도록 개발도구(SDK)를 제공합니다.

 

이 덕분에 모바일 게임이나 클래식 게임도 광고 수익 구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Zuma, Metal Slug 같은 익숙한 게임도 GameBuild 플랫폼에 재도입되어 운영되고 있습니다.

자산 토큰화와 RGB++ 프로토콜

 

GameBuild는 RGB++ 프로토콜을 지원해 게임 내 아이템, 캐릭터, 포인트 등을 토큰으로 만들어 유저 간 거래가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플레이어에게 실질적인 자산 소유권을 제공하며, 개발자에게는 수익 구조의 다변화를 열어줍니다.

 

GAME2 토큰 분배 구조

 

GameBuild는 총 발행량을 다음과 같이 분배하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구조는 유통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장기적인 생태계 확장을 고려한 배분 비율이 특징입니다.

 

항목 비율 설명
GAME CIRCULATION A 46.69% 게임 내 보상, 인센티브 등 대다수 유저에게 돌아가는 유통분
GAME CIRCULATION B 26.22% 파트너 게임, 서비스 연계 인센티브, 게임 간 전환 토큰용
ECOSYSTEM 13.15% 생태계 운영 자금, 커뮤니티 지원, 인프라 확대용
BUSINESS DEVELOPMENT 6.57% 파트너십, 마케팅, 운영비 등 사업 확장 목적
AIRDROP 3.00% 초기 사용자 확보 및 커뮤니티 리워드용 에어드랍
STRATEGIC INVESTOR 2.40% 전략적 제휴를 맺은 기관/기업 대상 분배
SEED INVESTOR 1.97% 초기 시드 투자자 대상 할당분

총량의 70% 이상이 실사용 및 유통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어, 투기적 요소보다는 실질적인 게임 내 소비와 사용자 보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특히 GAME CIRCULATION A + B 가 전체의 72.91%를 차지하는 구조는 DAO 기반 생태계 유저 참여율을 높이는 데 유리한 배분 방식입니다. 사업 개발 및 생태계 성장을 위한 비율도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어, 외부 파트너 유치나 마케팅 확대에도 여지를 남겨두고 있습니다.

 

GAME2 연도별 주요 이슈

 


연도 주요사건 최고가 최저가
2024 캐리프로토콜 + SLG 합병 ➡ 게임빌드(GAME2) 탄생 (2024 5월) 약 15원 약 4원
205 현재가격보기 - -

업비트 차트에는 GAME2의 차트가 2019년부터 존재하지만 실제로는 캐리프로토콜(CRE)의 거래 이력이 반영된 것입니다. 2024 5월, 캐리프로토콜과 SLG의 합병으로 새로운 토큰인 게임빌드(GAME2)가 출범했으며 당시 업비트에 상장되있던 기존 캐리프로토콜의 보유자들에게 4회에 걸친 에어드랍 방식으로 GAME 토큰이 분배되었습니다. 

 

이로인해 2024 5월 이전의 게임빌드의 업비트차트에는 캐리프로토콜의 과거 차트가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GAME2와 구조가 비슷한 게임 코인들

GameBuild처럼 블록체인 게임 생태계를 구축하는 프로젝트들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단순히 게임 보상을 주는 방식이 아니라 DAO 운영이나 광고 수익, 생태계 기반 구조 등 GameBuild와 유사한 방향성을 가진 대표적인 프로젝트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갈라 (GALA)

갈라는 다양한 웹3 게임을 퍼블리싱하는 플랫폼으로, 자체 게임 런처와 노드 시스템을 운영하며 유저가 직접 생태계에 참여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게임 내 자산은 NFT로 발행되어 유통되며, 보상 구조도 게임마다 다양하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갈라는 자체 게임 제작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게임빌드는 외부 게임을 플랫폼에 연동하고 광고 수익을 기반으로 수익을 분배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엑시 인피니티 (AXS)

엑시 인피니티는 게임을 플레이하면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구조의 대표적인 P2E 프로젝트입니다. 플레이어는 캐릭터를 수집하고 전투를 통해 보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AXS 토큰은 거버넌스 참여에도 활용됩니다. 엑시는 게임 플레이 자체가 수익과 직결되는 구조인 반면, 게임빌드는 광고 인벤토리 활용과 DAO 기반의 보상 분배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됩니다.

이뮤터블엑스 (IMX)

이뮤터블엑스는 이더리움 기반의 NFT 거래에 특화된 플랫폼으로, 게임 개발사와 플레이어가 높은 수수료 없이 NFT를 발행하고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IMX는 게임 자산의 유통과 인프라 제공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게임빌드는 광고 수익을 중심으로 생태계를 설계했다는 점에서 목적은 다르지만 게임 개발자를 위한 지원 구조라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GameBuild는 단순히 ‘게임에서 보상을 주는 코인’이 아니라, 광고라는 현실적인 수익 구조를 블록체인과 접목시킨 독특한 생태계입니다. Web2 게임과의 연결성, DAO 구조, 그리고 게임 속 광고를 통해 유저와 개발자가 함께 수익을 나눈다는 철학은 기존 P2E 모델과는 다른 방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코인 자체의 구조도 투기보다 실사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주목할 만한 프로젝트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앞으로 Web3 게임 시장이 커질수록, GameBuild가 어떤 식으로 자리 잡을지 지켜보는 것도 흥미로운 관전 포인트가 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