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비트 수수료 계산 쉽게 하는 법
국내 최대 거래소인 업비트를 이용하면서 수수료를 제대로 알지 못하면 예상치 못한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은 코인을 처음 시작하는 '코린이'들을 위해 업비트 수수료에 대한 모든 것을 쉽고 자세하게 설명하고, 똑똑하게 수수료를 절약하는 방법까지 알려드립니다.
업비트 수수료, 알고 보면 꽤 큽니다
코인을 사고 팔때 내는돈
처음에는 몇십 원에서 몇백 원 정도라서 별것 아닌 것처럼 느껴지지만, 거래를 자주 하다 보면 수수료도 누적됩니다. 실제로 제가 업비트를 이용한 지 6개월 정도 되었을 때, 수수료로 빠져나간 금액을 계산해보니 무려 70만 원이 넘더군요.
주식 투자에서 증권사 수수료를 꼼꼼히 따지듯, 가상화폐도 마찬가지입니다. 수수료는 수익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무심코 넘기기엔 절대 적지 않은 금액입니다.
단타를 자주 하거나 투자 금액이 큰 분들은 수수료에 대해 반드시 이해하고 넘어가야 합니다.
● 수익률에 영향: 수수료는 매수/매도 시 자동으로 발생하며, 수익을 줄이는 주요 요소입니다.
● 거래가 많을수록 누적 부담 증가: 특히 단타나 스윙처럼 잦은 거래를 할 경우 수수료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으로 누적됩니다.
● 기본을 아는 것이 투자 실력: 수수료 구조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본절에 매도하여 손실을 발생시키지 않는 매매를 할수 있습니다.
업비트 수수료 종류
구분 | 설명 |
거래 수수료 | 코인을 사고팔 때 발생 (매수/매도 시 자동 차감) |
출금 수수료 | 코인을 외부 지갑이나 거래소로 전송할 때 발생 (코인별로 다름) |
원화 출금 수수료 | 1000원 |
원화 입금 수수료 | 무료 |
수수료는 크게 2종류가 있다고 보시면 되고 기본적으로는 거래 수수료 + 출금 수수료만 신경 쓰면 됩니다.
상황에 따라 수수료 비율과 금액은 바뀔수 있으니 업비트에서 출금수수료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일단 거래수수료 부터 알아보겠습니다.
기본 용어
지정가 시장가란?
업비트는 ‘Maker’와 ‘Taker’ 수수료로 나뉩니다.
구분 | 설명 |
Maker(지정가) | 주문이 오더북에 등록되고, 나중에 누군가 와서 체결해가는 구조 |
Taker(시장가) | 주문이 기존 오더북에 있는 주문과 즉시 체결되는 경우 |
지정가를 걸어서 매매했는데 상황에 따라 시장가로 주문이 체결될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업비트에서는 일반 주문시 Maker, Taker 수수료가 둘다 동일하니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부분입니다. 두개의 개념의 위의 표와 같으며 복잡하다고 느껴지실수도 있습니다.
영어로 써있어서 불편하다면 maker는 지정가 Taker는 시장가라고 생각하시고 보세요.
주문 방식 정리

주문방식 | 설명 | 사용 상황 |
지정가 | 수량과 가격을 직접 입력하여 주문하는 방식 | 원하는 가격에 매수·매도하고 싶을 때 |
시장가 | 수량만 입력하면, 현재 시장 가격으로 즉시 체결 | 즉시 거래가 필요할 때 |
예약-지정가 | 특정 감시 가격에 도달하면, 미리 설정한 가격으로 주문이 자동 실행 | 손절, 익절 등 자동 전략에 유리 |
업비트 거래 수수료 총정리
마켓별 수수료 요약
사용자들 대부분은 KRW마켓(원화마켓)을 이용하므로 이부분을 보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사고 팔때 일반주문으로 적용되며 수수료는 0.05%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마켓 종류 | 일반주문 | 예약주문 |
KRW 마켓 | Maker: 0.05% / Taker: 0.05% | Maker: 0.139% / Taker: 0.139% |
BTC 마켓 | Maker: 0.25% / Taker: 0.25% | Maker: 0.25% / Taker: 0.25% |
USDT 마켓 | Maker: 0.25% / Taker: 0.25% | Maker: 0.25% / Taker: 0.25% |
※ 여기서 핵심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KRW 마켓의 일반주문으로 주문을 넣으면 0.05%로 매우 저렴합니다.
- 반면 예약주문으로 지정가를 걸면 0.139%가 적용되니, 일반주문과 예약주문은 수수료가 다릅니다.
- BTC, USDT 마켓은 주문 방식과 상관없이 수수료가 **모두 0.25%**입니다.
Maker란 내가 새로운 주문을 걸었을 때 상대방이 체결되기 전까지 기다리는 주문 방식 입니다.
Taker는 이미 올라온 주문을 즉시 체결하는 방식입니다.
업비트 주문방식 (일반주문 vs 예약주문)
주문방식 | 수수료 | 내용 |
일반주문(지정가) | Maker: 0.05% | 가격과 수량을 직접 입력해 즉시 주문 |
일반주문(시장가) | Taker: 0.05% | 수량만 입력 → 바로 체결 |
예약주문 | Maker/Taker 모두 0.139% | 감시가격 도달 시 자동 실행 |
일반주문은 지정가나 시장가로 코인을 매수매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약주문은 예약-지정가로 잠을 자거나 내가 대비를 못할 상황을 대비해서 미리 예약을 걸어놓는것을 뜻합니다. 예를들어 현재 리플 시세가 3600원인데 2500원까지 떨어졌을때 매도를 하고싶다는 계획을 세웟다면 리플이 2500원에 도달했을때 내가 예약건 주문이 바로 발동되는 원리입니다.
현재 3600원인데 2500원으로 지정가로 매도 하면 2500원보다 현재가가 비싸서 바로 팔려버리지만, 예약-지정가로 걸어놓으면 바로 팔리지 않고 2500원이 올떄까지 기다렸다가 주문이 발동됩니다.
거래 수수료 계산 방식
체결수량 X 체결가격 X 수수료율
거래 수수료 계산 예시
수수료 계산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현재 리플 시세가 1000원이고 1000개를 원화마켓해서 매수 매도 한다고 예시를 들어 보겠습니다.
✅ 리플1개 시세 :1000원
✅ 매수, 매도 수량 1,000개
✅ 수수료 계산 : 1000 X 1000 X 0.05%
계산시 수수료는 0.05% 계산으로 500원으로 책정됩니다.
🔥 매수 시
- 체결 금액: 1,000,000원
- 수수료: 500원
- 실제 지출: 1,000,500원
- 내 자산 변화: 리플 1,000개 입금
🔥 매도 시
- 체결 금액: 1,000,000원
- 수수료: 500원
- 실제 수령: 999,500원
- 내 자산 변화: 리플 1,000개 차감
🤞 매수시에는 수수료가 포함되어서 원화가 차감되고 매도시에는 수수료가 반영된 금액을 정산받게 됩니다.
수수료 계산 최종 예시
구분 | 리플 단가 | 수량 | 총액 | 수수료 | 실제자산변화 |
매수 | 1,000원 | 1,000개 | ₩1,000,000 | ₩500 | ₩1,000,500 지출 |
매도 | 1,000원 | 1,000개 | ₩1,000,000 | ₩500 | ₩999,500 입금 |
→ 즉, 단타 기준으로 오르지도 내리지도 않았는데도, 왕복 거래(매수→매도) 시 수수료로 1,000원 손실이 생깁니다.
수수료는 거래가 체결될 때 자동으로 차감되기 때문에 따로 결제하지 않지만, 체결 금액이 커지거나 매매 횟수가 많아 질수록 수수료도 점점 커지므로 항상 계산을 염두에 두는 것이 좋습니다.
※ KRW(원화) 마켓 거래 수수료는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표기됩니다.
출금 수수료
업비트는 입금 수수료는 무료이지만, 출금 수수료는 고정으로 부과됩니다. 대표적으로 원화(현금) 인출시 1000원이 수수료로 듭니다. 그밖에도 코인을 다른 거래소나 지갑으로 이동시킬때 출금을 해야하는데 이때 각각 코인별로 출금수수료가 다르게 책정되어있습니다.
출금 수수료
- 원화 : 1000원
- 비트코인(BTC) : 0.0008 BTC
- 이더리움(ETH): 0.01 ETH
- 리플(XRP) : 0.4 XRP
금액과 상관없이 1회당 고정수수료이며 출금 수수료는 거래소의 정책이나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니, 출금 전에는 항상 최신 수수료를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수수료를 줄이는 꿀팁
- 일반주문 방식으로 주문하기: 예약주문의 수수료가 3배가까이 되기 때문에 틀별한 경우가 아니면 일반주문방식을 이용합니다.
- 거래 빈도 줄이기: 수익률 계산 시 수수료도 포함해보면, 불필요한 거래를 줄이게 됩니다.
- 출금 최소화: 가능하면 출금을 자주 하지 말고 한 번에 모아서 출금하면 수수료를 아낄 수 있습니다.
- 출금 수수료 낮은 코인 선택 : 다른거래소나 지갑으로 자금이동시 코인을 출금하는 상황이 생기는데 이때에 수수료가 낮거나 무료인 코인을 이용하도록 합니다.
수수료는 금액이 작기 떄문에 무시하고 크게 신경쓰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잦은 단타, 큰투자금의 경우에는 꽤 많이 지출되게 되니 수수료의 개념에 대해서는 꼭 알고 계시는것이 좋습니다.
'코인 거래소 & 지갑' 카테고리의 다른 글
OKX거래소KYC 인증방법 (초보자용) (0) | 2025.03.19 |
---|---|
OKX 거래소 가입방법 (코인초보자를 위한 상세 가이드) (1) | 2025.03.17 |
솔라나 팬텀(Phantom) 지갑 만드는 방법 (0) | 2025.01.03 |
업비트 고객센터 전화번호 및 상담 방법 (0) | 2024.12.04 |
비트코인 거래소 가입시 내이름 영문이름 입력방법 (0) | 2024.1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