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취/자취생활 tip 5
매트리스에 음료수,커피 쏟았을때 문제점과 청소방법
매트리스에 무언가를 쏟았을 때는 엄청나게 놀라게 됩니다. 매트리스 위에서 무언가를 먹다가 나도 모르게 음식물을 흘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커버를 씌우지 않은 상태에서는 오염 물질이 깊숙이 파고들어서 절망하게 되죠. 술 먹고 토를 한경우에도 아침에 일어나서 엄청난 자괴감과 놀람을 겪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사이다, 커피, 우유, 토, 등 다양한 이물질로 인해 더럽혀진 매트리스 청소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이다 쏟았을 때 문제점 매트리스에 사이다를 쏟는 것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얼룩: 사이다에는 매트리스에 얼룩을 남길 수 있는 설탕과 색소가 들어 있습니다. 이러한 얼룩은 제거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냄새: 사이다가 매트리스에 스며들면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특히 습한..
돈벌레 나오는 이유와 잡는법
여름철 바퀴벌레 보다 더 싫은 존재가 있습니다. 바로 돈벌레 입니다. 생김새부터 너무 혐오스러워서 집안에 나타나면 하루종일 멘탈이 나가 있게 됩니다. 돈벌레가 나타나지 않게 예방방법과 나타났을때 잡는법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집집마다 바퀴벌레만큼 종종 볼 수 있는 벌레가 있습니다. 바로 돈벌레라고 불리는 그리마라는 절지동물입니다. 생김새는 지네와 비슷하지만 다리가 많고 크기가 작아서 귀엽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보자마자 혐오감을 일으킬 수 있는 자태를 뽐내기 때문에 발견 시 공포에 휩싸이게 됩니다. 부자 된다는 미신 옛날부터 집에 돈벌레가 나타나면 죽이지 말라는 말이 떠돌았습니다. 옜말에 의하면 집안에 돈벌레가 보이면 재물복이 들어온다고 하여 반기기도 하였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보이면 돈..

haccp 인증된 음식 구매해야 하는 이유
인터넷에서 음식을 살 때 보면 설명란에 HACCP 인증 시설이라고 자랑스럽게 홍보하는 식품이 많습니다. 자취생으로써 가공식품을 자주 사 먹어야 하기에 보다 안전하고 인체에 무해한 음식을 고르기 위해 HACCP에 알아두면 좋을 듯합니다. HACCP 인증이란? 해썹인증 이라고도 불립니다. 식품이 만들어지기까지 모든 과정에는 제조, 가공, 조리, 유통이 포함됩니다. 이과정에서 제조 식품 안에 안 좋은 물질이 들어가거나 유해성분이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과정의 위생적인 부분들을 평가하여 관리하여 인증을 해주고 있습니다. 기업에서는 이인증을 받아야 판매하는 제품에 HACCP 인증마크를 달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식품, 축산, 건강식품, 급식소 등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현..

삼성 세탁기 4E 에러 물꽉차는 증상 자가해결방법
자취를 하고 난 후 제공되는 옵션 중에 제일 마음에 안 들었던 세탁기!! 드럼까진 기대 안 했어도 미니세탁기에 연식은 10년전 모델이었습니다. 금방 고장 날 거만 같았던 기분이 들었고 한 달 정도 사용 중 드디어 세탁기가 멈추는 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삼성전자 사이트에서 검색해본결과 4E에러는 급수 에러라고 합니다. 물이 정해진 시간안에 받아지지 않았을 경우 나타나는 표시라고 하며 물이 나오지 않거나 적게 나와도 발생될 수 있다고 나와있었습니다. 제껀 오래된 구모델이라 4E로 표시되지만 2015년 신모델부터는 4C라고 에러 표시가 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혹시라도 세탁기 내에 물이 꽉차오르는 증상이 아니신 분들은 아래의 삼성전자 공식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방법으로 자가 점검을 한번 해보시기 바랍니다. 대..

초파리 예방 방법
초파리 예방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이 게시물을 모두 읽고 나면 초파리 예방을 이해할 것입니다. 밥 먹는대 좋아하는 반찬에서 끈질기게 날아다니는 것을 보면 정말 화가 나죠. 이제 아래에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초파리 어디서 오는걸까? 초파리는 집 주변에 있는 하수구 같은 곳에 많이 있습니다. 습하고 어두운 곳을 좋아하거든요. 이것들이 이제 음식을 먹고 알을 낳기 위해 냄새가 나는 곳을 찾아 집안으로 들어오게 됩니다. 후각이 발달되어 1KM의 거리에서도 음식을 찾을 수 있습니다. 초파리는 모기나 파리도 뚫고 들어올 수 없는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초파리의 크기는 2-5MM입니다. 방충망의 크기가 보통 5MM 이기 때문에 환기를 시키려고 방충망을 믿고 있었다가 이곳들 통해 들어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싱크..
